전체 글 14

하이퍼바이저 Hyper-V의 architecture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hyper-v라는 하이퍼바이저의 아키텍쳐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hyper-v는 type 1 하이퍼바이저로, 호스트 OS 없이 돌아간다. 또한 전가상화와 반가상화를 모두 지원한다. (전가상화 시 Intel-VT, AMD-V 와 같은 가상화 기술 지원 CPU가 필수적이다.) type 1답게 부모 파티션을 가지고 있는데, hyper-v에서 부모 파티션의 서버는 윈도우 서버이다. 더 자세하게 살펴보자. 그림에는 게스트 os가 실행되고 있는 자식 파티션이 세개가 있다. 첫번째 자식 파티션은 hyper-v가 지원하는 OS를 가진 가상머신이다. 이 가상머신은 VMBus를 통해 부모 파티션과 통신한다. VSP와 VSC가 연결되는 통로가 바로 VMBus이다. VSP : Virtualization ..

그외 2018.11.06

하이퍼바이저 Xen의 architecture

하이퍼바이저 중 Xen의 아키텍처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한다. Xen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일종으로, 시트릭스 사의 XenServer나 오라클의 Virtual Box의 하이퍼바이저이기도 하다.Type 1 하이퍼바이저이며 초기의 젠은 반가상화만 지원했다.하지만 지금은 전가상화를 지원하고 있다(왜냐면 전가상화가 대세니까.) 내 짧은 소견으로는 이 그림이 가장 쉽고 자세한 것 같아 첨부해보려 한다. 먼저 눈 여겨 볼 것은 하드웨어 바로 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존재한다는 점. Type 1 하이퍼바이저라는 뜻이다.그 다음 볼 것은 Dom0이다.Dom0이 그 옆의 다른 게스트 OS들과 다른 점은 아주 많다. 실제 물리 장치와 연결되는 장치 드라이버를 가졌고 각 도메인을 제어하는 역할을 맡는다.그렇다고 절대로 Type 2..

그외 2018.11.01

hypervisor의 종류

클라우드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hypervisor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었다. 하이퍼바이저는 크게 Type 1과 Type 2로 나뉜다. Type 1은 다시 전가상화(Full Virtualization)와 반가상화 (Para-Virtualization)으로 나뉜다. Type 1은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어 여러 개의 OS를 돌리는 하이퍼바이저를 말한다.호스트 OS가 없어서 리소스 할당이 필요 없다. 그래서 물리 리소스 관리가 유연하여 Type 2보다 오버헤드가 적다.자체적인 관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관리 콘솔이나 관리 컴퓨터가 필요하다. (그래서 VMWare의 ESX에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콘솔이라는 놈이 있다고 한다. 그 후의 버전인 ESXi는 서비스 콘솔을 제거하고 더 편리한 DCUI(..

그외 2018.11.01

Eclipse Java EE 설치 중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에러 해결

jsp 공부를 해보려고 Eclipse를 설치하는데 톰캣 서버 실행도 제대로 못해보고 에러가 발생했다ㅠㅠ 계속 뜨는 에러메시지는 Error: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Error: A fatal exception has occurred. Program will exit. 이클립스와 JVM이 연결이 안되는 것 같다. 콘솔에는 -Djava.endorsed.dirs=C:\Users\user\Desktop\apache-tomcat-7.0.88\apache-tomcat-7.0.88\endorsed is not supported. Endorsed standards and standalone APIs in modular form will be supported via t..

그외 2018.05.29